"전세금 떼일라" 높아진 대출 문턱에 빌라 월세 수요 증가

등록일 2024-12-13
작성자: 뉴시스
에디터: NZINE

전세 사기와 깡통전세 등의 영향으로 빌라(연립·다세대 주택)에 대한 기피 현상이 뚜렷한 가운데 대출 규제까지 겹치면서 빌라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전세 사기와 대출금리 상승 영향으로 올해 서울 빌라 월세 거래량은 10% 증가한 반면 전세 거래량은 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격을 바탕으로 올해 1~11월 연립·다세대 주택의 전월세 거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월세 거래는 총 6만6194건으로, 지난해 동기(6만125건) 대비 10.1% 증가했다. 반면 전세 거래는 5만7천60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만6408건)보다 13.3% 줄었다.
올해 월세 거래량은 전세 거래량보다 14.9% 더 많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전세 거래량이 월세 거래량보다 10.5% 더 많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전세 거래는 지난 8월을 기점으로 줄었다. 올해 1~7월 전세 거래는 매달 5000~6000건 이뤄져 월평균 5850건으로 집계됐지만, 8~11월에는 월평균 4163건으로 감소했다. 지난달 계절적 비수기까지 겹쳐 349건으로 집계됐다.
월세 수요가 증가하면서 월세 보증금과 평균 임차료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올해 1∼11월 서울 빌라 월세 평균 보증금은 892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229만원)보다 23.4% 증가했다. 매달 내는 평균 임차료도 지난해 82만원에서 올해 84만원으로 2만원 올랐다.
부동산 시장에선 전세 사기 여파와 대출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세보다 월세를 택하는 수요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세 사기 여파로 전세 기피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출 규제로 전세 자금을 빌리는 대출 문턱마저 높아지면서 빌라 시장에서 월세 수요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빌라 임대차시장이 월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전세 사기 여파로 전세 제도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대출 규제가 강화하면서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 전세 대신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며 "비아파트의 전세 기피 현상이 지속되면서 빌라 임대차시장이 월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