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넉넉한 수납공간+북카페', 맘·키즈 특화설계 흥행몰이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수자 중 30대가 가장 '큰손'으로 나타난 가운데 양육, 교육 환경에 민감한 엄마와 아이 수요에 맞춘 특화 설계를 적용한 아파트가 인기를 끄는 모습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건설사들은 수납공간이나 주방에 특화 설계를 도입하거나 자녀 나이대에 맞춘 커뮤니티 시설, 안전한 동선 등을 고려한 설계에 힘을 주고 있다.
이는 자녀를 둔 30대와 40대가 주택시장의 실수요층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 현황에 따르면, 2024년 거래된 아파트 49만2052가구 중 30대 매입자는 13만973가구(26.6%), 40대가 12만8920가구(26.2%)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는 자녀수가 줄어 아이의 교육환경과 안전에 대한 부모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작년 12월 나온 통계청 '2023년 신혼부부통계'를 보면 2023년 초혼 신혼부부의 평균 자녀 수는 0.63명으로 직전 2022년보다 0.02명 감소했다.
정부가 1월부터 신생아 특례 대출 소득 요건(연간, 가구소득)을 맞벌이 가구에 대해 2억5000만원까지 3년간 추가 완화하기로 해 자녀를 둔 30대와 40대의 내 집 마련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별공급의 다자녀 혜택 기준이 기존 3자녀에서 2자녀로 완화됐으며, 민간 분양의 경우 신혼부부 특별공급에서 신생아(2세 미만 자녀) 우선공급 비율을 기존 20%에 35%로 확대하기로 하는 등 분양시장에서의 혜택도 늘어나고 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
커뮤니티 NEW10
더보기1
궁예_청주인戶 1천을 철원으로 이주시키다 1부

2
여인들에게 사치를 許하라 가체에서 족두리까지

3
쌀에서 팝콘향이? “도공의 마음으로 향 나는 쌀 품종 개발 20년 공들였다”

4
삶의 실력, 장자

5
고풍스런 도청 본관, ‘그림책 정원’이 되다

6
도급업체에 고용되었지만 사용사업주인 공장주의 지시에 따라 공정 업무를 수행했다면 파견근로자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것 아닌가요?!

7
“춤에 정답은 없잖아요? 나만의 색깔로 오래도록 무대 지킬래요”

8
하루 종일 앉아 있다면 위험! 좌골신경통 주의

9
전통과 문화를 이어 삶이 된 그곳, 영주

10
달릴 때 무릎이 아프다면 러너의 무릎(runner’s knee)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