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임대사업자 의무위반 과태료 385억, '계약신고 위반' 1위

지난해 등록임대사업자들이 의무위반으로 부과된 과태료가 385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 이후 등록임대사업자 의무위반 행위 적발 및 과태료 부과 등 조치 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등록임대사업자의 의무위반행위 적발 건수는 총 3838건, 과태료는 384억7600만원에 달했다.
연도별 건수를 보면 ▲2020년 1832건 ▲2021년 6871건 ▲2022년 3521건 ▲2023년 3838건으로 적발건수가 특별히 늘어난 2021년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국토부는 2021년의 경우,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등록 임대사업자 합동점검을 최초로 실시함에 따라 위반 확정된 임대사업자 대상으로 과태료를 부과해 위반건수 및 금액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과태료 금액의 경우 ▲2020년 213억3735만원 ▲2021년 703억2037만원 ▲2022년 270억7972만원 ▲2023년 384억7600만원 등으로, 이 역시 2021년 당시 700억원대로 폭증했다가 200억원대로 내려온 뒤 다시 300억원을 넘겼다.
의무 위반 행위를 유형별로 보면 지난해 가장 많은 임대사업자의 위반이 적발된 행위는 '임대차계약 신고 위반'으로, 총 2206건이 적발돼 70억432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됐다.
두 번째는 '의무기간 내 미임대 혹은 임대사업자가 아닌 자에게 양도한 행위'로 총 1045건이 드러나 252억949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됐다.
또 ▲'임대보증금 보증 미가입' 236건(49억2540만원) ▲'양도 미신고' 162건(6억4100만원) ▲'부기등기 미이행' 92건(1억700만원) ▲'임대료 증액제한 위반' 50건(3억100만원)등이 뒤를 이었다.
이연희 의원은 "임대사업자의 의무위반 행위는 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안정을 약화시키는 만큼 국토부는 임대사업자에 대한 계도 강화 등 의무위반 행위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
커뮤니티 NEW10
더보기1
궁예_청주인戶 1천을 철원으로 이주시키다 1부

2
여인들에게 사치를 許하라 가체에서 족두리까지

3
쌀에서 팝콘향이? “도공의 마음으로 향 나는 쌀 품종 개발 20년 공들였다”

4
삶의 실력, 장자

5
고풍스런 도청 본관, ‘그림책 정원’이 되다

6
도급업체에 고용되었지만 사용사업주인 공장주의 지시에 따라 공정 업무를 수행했다면 파견근로자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것 아닌가요?!

7
“춤에 정답은 없잖아요? 나만의 색깔로 오래도록 무대 지킬래요”

8
하루 종일 앉아 있다면 위험! 좌골신경통 주의

9
전통과 문화를 이어 삶이 된 그곳, 영주

10
달릴 때 무릎이 아프다면 러너의 무릎(runner’s knee)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