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집 뺄 때 수리비 폭탄 피하려면', 임차인 원상회복 의무란

임대차 계약을 마칠 때 원상회복 의무 관련 분쟁이 늘어나는 가운데 이런 분쟁을 피하려면 입주 때 집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18일 KT에스테이트에 따르면, '임차인의 원상회복 의무'란 임차인이 임대차 계약이 종료되면 임차물인 집을 임대 당시의 상태로 임대인에게 반환해야 하는 의무를 뜻한다.
민법 제374조(특정물인도채무자의 선관의무), 민법 제615조(차주의 원상회복의무와 철거권) 등은 임차인이 목적물 보존에 관한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 의무가 있고, 목적물을 반환할 때 이를 원상회복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다만 원상회복은 꼭 계약 당시 상태와 100% 똑같은 복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노후나 자연 마모·부식, 통상의 손모 등은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최근 임대차 계약 만료 시점에 일부 집주인들이 생활 기스나 작은 흠집을 이유로 벽지나 마루의 전체 교체를 요구해 공분을 사는 일이 늘었다.
이런 분쟁을 피하려면 입주하는 임차인은 ▲문·창문·벽 등의 하자 확인 ▲집 상태 사진·동영상 촬영 등을 하라는 게 전문가의 조언이다.
임대인도 미리 임차 목적물을 찍어두면 실제 파손이 일어났을 때 임차인이 원상회복을 회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부득이하게 집에 파손이 생겼을 때 임차인이 해당 부위를 촬영해 임대인에게 미리 고지하는 것도 분쟁을 줄이는 한 방법이다.
계약 당시 손상이 잦은 벽지·장판 등의 구체적인 원상회복 의무 범위 등을 명시하고, 계약을 마치고 퇴거할 때 임대인과 함께 집을 점검하거나 분쟁이 일어나면 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를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KT에스테이트는 전했다.
<뉴시스 기사ㆍ사진 제공>
커뮤니티 NEW10
더보기1
궁예_청주인戶 1천을 철원으로 이주시키다 1부

2
여인들에게 사치를 許하라 가체에서 족두리까지

3
쌀에서 팝콘향이? “도공의 마음으로 향 나는 쌀 품종 개발 20년 공들였다”

4
삶의 실력, 장자

5
고풍스런 도청 본관, ‘그림책 정원’이 되다

6
도급업체에 고용되었지만 사용사업주인 공장주의 지시에 따라 공정 업무를 수행했다면 파견근로자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것 아닌가요?!

7
“춤에 정답은 없잖아요? 나만의 색깔로 오래도록 무대 지킬래요”

8
하루 종일 앉아 있다면 위험! 좌골신경통 주의

9
전통과 문화를 이어 삶이 된 그곳, 영주

10
달릴 때 무릎이 아프다면 러너의 무릎(runner’s knee)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